유니의 코딩공부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2024/03/06 1

Linked list

RAM(Random architecture Memory) 메모리에도 address가 있고, 각자의 위치에 데이터가 저장됨 각 주소에 접근할 때 걸리는 시간이 동일 메모리를 사용하는 특성이 다르다 LinkedList 구조 node : 마디, 교점 vertex: 정점, 꼭지점 연결과 연관되어 있는 개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현 node 안에 2개의 필드(변수)를 가지고 있다 data field: 저장되는 실제 값 link field: 다음 node가 무엇인가 저장 되어 있음 head : 첫번째 노드가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정보를 저장 첫번째 위치에 노드 추가 1. 노드를 생성 2. 새로 생성한 노드에 next값으로 현재 이 리스트의 첫번째 노드를 지정 3. 시작이 되는 node가 방금 생성한 node 데이터..

개발 공부/자료구조 2024.03.06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1)
    • 개발 공부 (127)
      • JAVA (23)
      • Spring (55)
      • Error 정리 (1)
      • GIT (4)
      • SQL (7)
      • WEB (33)
      • 자료구조 (4)
    • 일상 (0)

Tag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4/03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