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건문 if, else if, else (생활 코딩 공부 기록)
Boolean
참(True), 거짓(false) 2가지 값만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 타입이다.
비교 연산자
1=2
1==2 좌항과 우항을 비교하는 비교연산자
!=
not (같지 않다)
==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줌
.equals
문자열을 비교할때는 .equals를 사용해야한다
If 조건문
컴퓨터가 조건에 따라 분기해 주는 역할
if ( ) {
}
( ) 안에는 True or false의 값만이 들어올 수 있음.
True의 값일 경우 { } 값이 실행되고, false의 값인 경우 { } 값은 실행이 안 된다.
예시)
결과값 12345
결과값 5
else
if ( ) {
} else {
}
( ) 안의 값이 True의 값일 경우 { } 값이 실행되고, false의 값인 경우 { } 값은 실행이 안 된다.
( ) 안의 값이 false인 경우 { } 값은 실행되지 않고, else 뒤의 { } 값이 실행 된다.
else if
if ( a구간 ) { b구간
} else if ( c구간 ) { d구간
} else { e구간
}
a구간이 true인경우 : b구간 실행
a구간이 false인 경우 : c 구간으로 넘어가 true이면 d구간 실행
false이면 e구간이 실행된다
if절과 else절은 1번씩 쓸 수 있고, else if의 구간은 여러 조건이 올 수 있다! else절, else if절은 생략가넝~
예시)
첫번째 false절은 넘어가서 else if 값이 true이니 결과 값 2가 나오고,
다음 else if 절이 true여도 3 값은 실행되지 않은 채 if절 아예 밖으로 나가서 다음 값을 실행하게 됨.
논리 연산자
and => A && B 가 모두 참일때 참이 된다.
or -> A || B 둘 중 하나 라도 참이면 전체가 참이 되는 연산자이다.
! => not을 의미. Boolean의 값을 역전 시키는 역할.
ex) ! true : false 값이 됨/ ! false : true 값이 됨